[ IP ]
1. IP란?
-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 규약
- 스마트폰, 컴퓨터, 운영체제, 프로그램에 따라 각각 구현된 언어가 다름
▷ 네트워크에서 통신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 (공통된 통신 규약)이 필요
프로토콜을 국제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한 ISO 위원회
-> OSI 7계층 中 3계층 ip
2. IP 주소
- IP 통신에 필요한 고유 주소 (Adress)
-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 (컴퓨터, 서버 장비, 스마트폰 등)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장비에 부여
-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사용되는 주소
※ [윈도우 기준] CMD 창에서 ipconfig 라는 cli 명령어를 통해 IPv4 주소 확인 가능

2.1 IPv4
- IP version 4
-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IP 주소로, 먼저 등장
- 주소는 32비트 방식으로, 8비트씩 4자리로 구성
- 각 자리는 온점 ( . ) 으로 구분
- ex) 192.168.44.66
- 0 ~ 2^32 (약 42억 9천)개의 주소 할당 가능

2.2 IPv6
- IP version 6
- IPv4 주소 각 나라별 할당 ▶ 시간이 흐르며 ip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IPv4 기반 주소가 고갈되기 시작 ▶ IPv6 등장
- IPv4의 주소 체계를 128비트 크기로 확장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
- 16비트씩 8자리
- 각 자리는 콜론 ( : ) 으로 구분
- ex) 2001:0DB8:1000:0000:0000:0000:1111:2222

IPv4와 IPv6의 차이를 한 눈에 확인하자면 아래와 같다.
구분 | IPv4 | IPv6 |
주소 길이 | 128 비트 | 32 비트 |
주소 형태 | 2001:0DB8:1000:0000:0000:0000:1111:2222 | 192.168.44.66 |
주소 개수 | 2 ^ 128 | 2 ^ 32 |
패킷 헤더 | 고정 사이즈 | 변동 사이즈 |
헤더 필드수 | 12 | 8 |
P&P 기능 | 자동 구성으로 지원 | X |
이동성 | 가능 | 쉽지 않음 |
3. 여러 IP 유형들
3.1 공인 IP
- 외부에 공개되어 있는 IP
- 서버 구축, 서버 사용하는 것도 공인 IP 사용
- 공개 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나 검색/접근 가능
- 어느 IP도 중복되지 않음
3.2 사설 IP
- 로컬 IP, 가상 IP라고도 불리며, 특정 네트워크 내에서만 사용되는 IP
-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는 IP
- 큰 단위로 공인 IP 할당 후, 그 안에 존재하는 PC나 가정/회사 내에서만 통신이 가능한 IP 할당
공유기를 사용한 인터넷 접속 환경일 경우, 공유기까지는 공인 IP 할당을 하지만,
공유기에 연결되어 있는 가정 혹은 회사의 각 네트워크 기기에는 사설 IP를 할당.
3.3 유동 IP
- 변하는 IP라고도 불리며, IP 주소를 임시로 발급하는 것
- 기기에 고정적으로 IP를 부여하는 방식이 아닌, IP 갱신 주기가 되었을 때 혹은 기기를 껐다 켰을 때 남아있는 IP 주소를 골라 기기에 할당해주는 방식
3.4 고정 IP
- 변하지 않는 고정적으로 부여된 IP
- 사용자가 직접 IP 주소를 입력하여 주소를 설정하는 방식
- IP를 부여받으면 해당 IP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아 반납하기 전까지 동일한 IP를 사용
[ URL과 도메인 ]
1. 도메인
- 웹 브라우저를 통해 특정 사이트에 진입할 때, IP 주소를 대신하여 사용하는 주소
- 숫자로 이루어진 IP 주소를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, 이러한 IP 주소에 이름을 부여하는 것
- ex) 네이버의 경우
Domain : www.naver.com
IP : 223.130.195.200
2. URL
- Uniform Resource Locator
- 웹 주소라고도 불림
- 웹에서 HTML 페이지, CSS, 이미지 등의 리소스가 어디에 있는지 알려주기 위한 주소

위 사진에서 보면 전체 URL 안에 도메인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정리하자면, 도메인이 더 좁은 개념, url이 더 큰 주소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.
3. DNS

- Domain Name System
- 숫자로 이루어진 IP 주소 대신 외우기 편리한 언어로 주소를 사용
- IP 주소와 도메인 주소가 동일한 곳을 가리키도록 지정
- 사용자가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였을 때 해당하는 IP 주소로 연결이 되도록 함
- 과정 :
1. 브라우저에서 URL 입력
2. DNS가 도메인명에 연결된 IP 주소 확인 후 브라우저에 전달
3. 브라우저에서 해당 IP 주소로 서버에 접속
4.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하여 화면 출력
728x90
'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압축(ZIP) 폴더 오류 / 해결방법 (3) | 2023.12.04 |
---|---|
[Server]프로젝트 배포 진행 (0) | 2023.09.11 |
[Web] 쿠키와 세션 (0) | 2023.09.04 |
[HTTP] get post 개념과 차이점 (0) | 2023.08.18 |
[서버] 서버/구축방법/클라우드서버 (0) | 2023.08.07 |